Meet the Beatle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eet the Beatles!》는 비틀즈의 두 번째 영국 앨범 《With the Beatles》를 기반으로 하여 미국 시장을 위해 재구성된 앨범이다. 1964년 1월에 발매되었으며, 비틀즈의 초기 히트 싱글과 자작곡을 포함하여 미국 내 비틀즈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1위를 기록하며 11주 동안 정상을 지켰고, 2001년에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틀즈의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비틀즈의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1964년 음반 - 12 X 5
12 X 5는 1964년 시카고에서 녹음된 롤링 스톤스의 두 번째 미국 스튜디오 앨범으로, R&B 커버 곡, 자작곡, EP 수록곡 등을 포함하며, 발매 당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빌보드 차트 3위에 올랐다. - 1964년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조지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조지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Meet the Beatle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제목 | Meet the Beatles! |
종류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비틀즈 |
발매일 | 1964년 1월 20일 |
녹음 | 1963년 2월 11일 – 10월 23일 |
스튜디오 | EMI, 런던 |
장르 | 로큰롤 팝 머지비트 R&B |
길이 | 26분 43초 |
언어 | 영어 |
레이블 | 캐피틀 |
프로듀서 | 조지 마틴 |
비틀즈 연대기 (북미) | |
이전 음반 | Introducing... The Beatles (1964) |
현재 음반 | Meet the Beatles! (1964) |
다음 음반 | Twist and Shout (1964) |
비틀즈 연대기 (미국) | |
이전 음반 | Introducing... The Beatles (1964) |
현재 음반 | Meet the Beatles! (1964) |
다음 음반 | The Beatles' Second Album (1964) |
비틀즈 연대기 (일본) | |
이전 음반 | 렛 잇 비 (1970) |
현재 음반 | Meet the Beatles! (1970) |
다음 음반 | The Beatles' Second Album (1970) |
싱글 | |
싱글 1 | I Want to Hold Your Hand / I Saw Her Standing There |
싱글 1 발매일 | 1963년 12월 26일 |
차트 성적 | |
(차트 성적 정보는 원본 문서에 없음) | (차트 성적 정보는 원본 문서에 없음) |
인증 | |
(인증 정보는 원본 문서에 없음) | (인증 정보는 원본 문서에 없음) |
2. 배경
비틀즈의 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과 프로듀서 조지 마틴은 미국에서 비틀즈 음반 발매를 꾸준히 요청했지만, EMI의 미국 자회사인 캐피틀 레코드는 이를 계속 거절했다.[4] 결국 1963년 11월, EMI의 대표 조셉 록우드 경이 직접 나서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부하 직원을 통해 캐피틀 레코드에 비틀즈 음반 발매 준비와 미국 내 홍보 활동 시작을 지시했다.[4]
캐피틀 레코드가 미국에서 발매한 비틀즈의 첫 공식 앨범이다.[4][18] EMI의 자회사였던 캐피틀 레코드는 브라이언 엡스타인과 조지 마틴의 미국 발매 요청을 거부하다가, 1963년 11월 EMI 본사의 지시로 마침내 비틀즈 음반의 홍보 및 발매를 결정했다.[4] 하지만 이 앨범 발매 열흘 전, 시카고의 Vee-Jay Records가 비틀즈의 미국 데뷔 앨범 ''Introducing... The Beatles''를 먼저 발매했다. 이는 비틀즈의 첫 영국 앨범 ''Please Please Me''의 미국 발매 권리를 Vee-Jay가 가지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캐피틀 레코드는 이 앨범을 비틀즈의 "첫 앨범"으로 홍보하려 했으나, 《Meet the Beatles!》 발매 열흘 전인 1964년 1월 10일, 시카고의 Vee-Jay 레코드가 비틀즈의 미국 데뷔 앨범인 《Introducing... The Beatles》를 먼저 발매하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4] Vee-Jay 레코드의 이 앨범은 본래 1963년 여름 발매 예정이었으나 여러 이유로 지연되고 있었다.[4] 심지어 1964년 1월 12일을 전후하여 리버티 뮤직 숍(Liberty Music Shops)은 캐피틀 레코드의 승인 없이 《뉴욕 타임스》에 《Meet the Beatles!》 구매가 가능하다는 광고를 싣기도 했다.
《Meet the Beatles!》는 캐피톨 레코드가 발매한 비틀즈의 첫 앨범이지만, 미국 시장 전체로 보면 첫 앨범은 아니었다. 이 앨범은 영국의 두 번째 정규 앨범 《With the Beatles》의 수록곡을 중심으로 편집되었다. 당시 미국 음악 업계에서는 앨범 판매량을 늘리기 위해 히트한 싱글곡을 앨범에 포함시키고, 앨범 수록곡 수를 12곡 정도로 줄여 발매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8] 《Meet the Beatles!》 역시 이러한 관행에 따라 대히트 싱글 「I Want to Hold Your Hand」를 첫 곡으로 배치하고, 《With the Beatles》의 일부 곡을 제외하는 등 영국반과는 다른 편집을 거쳤다. 캐피틀 레코드의 이러한 독자적인 앨범 편집 방식은 1966년 발매된 《리볼버》까지 계속되었다.
3. 구성
''Meet the Beatles!''는 비틀즈의 두 번째 영국 정규 앨범 ''With the Beatles''를 기반으로, 당시 미국 시장의 관행에 맞춰 재구성된 앨범이다.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앨범에 12곡 정도를 수록하고 히트 싱글을 포함시켰는데,[18] 이는 14곡을 수록하고 싱글은 별도로 발매하던 영국과는 다른 방식이었다. 이러한 미국식 구성에 따라, 앨범에는 당시 히트 싱글이었던 〈I Want to Hold Your Hand〉와 B사이드 곡 〈I Saw Her Standing There〉, 그리고 영국 싱글 B사이드였던 〈This Boy〉 등이 포함되었다. 이 곡들은 당시 영국 앨범에는 없던 곡들이었다. 나머지 곡들은 ''With the Beatles'' 앨범에서 가져오되, 비틀즈의 자작곡 중심으로 선정하여 그룹의 독창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With the Beatles''에 있던 커버 곡 5곡은 이 앨범에서 제외되었고, 이후 발매된 ''The Beatles' Second Album''에 포함되었다.[21] 앨범 재킷은 ''With the Beatles''와 동일한 사진에 푸른색 색조를 더한 디자인을 사용했다.
캐피틀 레코드는 이후에도 비틀즈의 영국 원반을 독자적으로 편집하여 미국반을 발매하는 방식을 1966년 ''Revolver'' 앨범까지 지속했다. 이는 앨범 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상업적 전략이었으나, 비틀즈 멤버들은 이러한 편집 방식에 불만을 가졌다.[19] 결국 1967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앨범부터는 영국반과 미국반이 동일한 내용으로 발매되기 시작했다.[20]
3. 1. 곡 목록
1963년 11월까지 비틀즈는 영국의 파롤폰(Parlophone) 레이블을 통해 35곡 이상을 녹음했다. 미국의 캐피틀 레코드(Capitol Records)는 이 곡들을 바탕으로 미국 시장에 맞는 앨범과 싱글 발매를 계획했다.[25][26][27] 당시 비틀즈의 초기 곡들에 대한 미국 내 권리는 비 제이 레코드(Vee Jay Records)나 스완 레코드(Swan Records) 등 다른 레이블이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영국에서는 이미 두 번째 정규 앨범 ''With the Beatles''가 발매된 상태였고, 여러 싱글이 별도로 발매되었다. 영국 앨범은 보통 14곡을 수록했지만, 당시 미국 시장에서는 앨범에 12곡 정도를 수록하고 최신 히트 싱글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Meet the Beatles!''는 이러한 미국 시장의 관행에 맞춰 제작되었다. 앨범에는 당시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끈 싱글 〈I Want to Hold Your Hand〉와 그 B사이드 곡인 〈I Saw Her Standing There〉, 그리고 영국 싱글 B사이드였던 〈This Boy〉가 포함되었다. 이 세 곡은 당시 영국 정규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던 곡들이다. 나머지 9곡은 영국의 ''With the Beatles'' 앨범에서 가져왔다.
캐피틀 레코드는 미국 첫 앨범에서 비틀즈의 독창성을 강조하기 위해, 메러디스 윌슨 작곡의 〈Till There Was You〉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레논-매카트니가 만든 오리지널 곡으로 앨범을 구성했다. ''With the Beatles''에 수록되었던 나머지 5곡의 커버 곡들은 이후 발매된 ''The Beatles' Second Album''에 포함되었다. 앨범에 수록된 〈I Want to Hold Your Hand〉와 〈This Boy〉는 캐피틀 레코드가 스테레오 마스터 테이프를 받지 못해 인위적인 듀오포닉 스테레오로 믹싱되었다.
앨범은 총 12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A면과 B면에 각각 6곡씩 수록되었다. 상세한 곡 목록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3. 1. 1. 1면
모든 곡은 특별한 표기가 없는 한 레논-매카트니 작곡이다.
# | 제목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1 | I Want to Hold Your Hand[25]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 2:24 |
2 | I Saw Her Standing There[26] | 폴 매카트니 | 2:50 |
3 | This Boy[27]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조지 해리슨 | 2:11 |
4 | It Won't Be Long | 존 레논 | 2:11 |
5 | All I've Got to Do | 존 레논 | 2:05 |
6 | All My Loving | 폴 매카트니 | 2:04 |
3. 1. 2. 2면
모든 곡은 특별한 표기가 없는 한 레논-매카트니 작곡이다.곡 제목 | 작곡가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Don't Bother Me | 조지 해리슨 | 조지 해리슨 | 2:28 |
Little Child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 1:46 |
Till There Was You | 메러디스 윌슨 | 폴 매카트니 | 2:12 |
Hold Me Tight | 레논-매카트니 | 폴 매카트니 | 2:30 |
I Wanna Be Your Man | 레논-매카트니 | 링고 스타 | 1:59 |
Not a Second Time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 2:03 |
4. 참여 인원
'''비틀즈'''
- 존 레논 – 리드 보컬, 백 보컬, 리듬 기타, 어쿠스틱 기타, 박수, 하모니카 (Little Child), 클래식 기타 (Till There Was You), 탬버린 (Don't Bother Me)
- 폴 매카트니 – 리드 보컬, 백 보컬, 베이스 기타, 박수, 피아노 (Little Child), 클라베스 (Don't Bother Me)
- 조지 해리슨 – 리드 보컬 (Don't Bother Me), 백 보컬, 리드 기타, 어쿠스틱 기타, 박수, 클래식 기타 (Till There Was You)
- 링고 스타 – 드럼, 탬버린, 마라카스, 박수, 리드 보컬 (I Wanna Be Your Man), 봉고 (Till There Was You, Don't Bother Me)
'''추가 인원'''
5. 평가
이 음반은 올뮤직으로부터 5점 만점에 4.5점을 받았고,[6] 《대중음악 백과사전》에서는 5점 만점에 3점을 받았다.[7] 《롤링 스톤 레코드 가이드》는 5점 만점을 부여했다.[8]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1981년에 출판한 그의 저서 《크리스트가우의 레코드 가이드: 70년대 록 앨범》에서 이 음반을 1950년대와 1960년대 녹음의 "기본 레코드 라이브러리" 중 하나로 선정했다.[9]
2001년, 《Meet the Beatles!》는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0] 2003년 잡지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59위에 올랐고,[11] 2012년 개정판에서는 53위,[12] 2020년 개정판에서는 197위를 기록했다.[13]
《Meet the Beatles!》는 비틀즈의 미국 시장 데뷔 음반으로서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는 11주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22] 1964년 연간 차트 8위, 1965년 연간 차트 31위를 기록했다. 캐시 박스 차트에서도 11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1964년 연간 차트 1위에 올랐다. 미국 내에서만 500만 장 이상 판매되어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23]
이 앨범은 캐피톨 레코드에서 발매한 비틀즈의 첫 앨범이다. 당시 비틀즈의 영국 첫 앨범 《Please Please Me》의 미국 판권은 비제이 레코드가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캐피톨 레코드는 두 번째 영국 앨범 《위드 더 비틀즈》의 수록곡을 중심으로 이 앨범을 편집했다. 앨범 커버 사진 역시 《위드 더 비틀즈》의 사진에 푸른색 색조를 더한 것이다.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를 늘리기 위해 당시 히트 싱글이었던 〈I Want to Hold Your Hand〉를 첫 곡으로 배치하고, 앨범 수록곡 수를 12곡으로 줄이는 등[18] 미국 음악 산업의 관행에 따라 독자적으로 편집되었다. 이러한 캐피톨 레코드의 독자적인 편집은 1966년 《Revolver》까지 이어졌으나, 비틀즈 멤버들의 불만이 커지면서[19] 1967년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부터는 영국반과 동일한 앨범이 발매되기 시작했다.[20] 《위드 더 비틀즈》의 14곡 중 이 앨범에 실리지 않은 5곡은 1964년 4월 발매된 《The Beatles' Second Album》에 수록되었다.[21]
비틀즈의 영국반 앨범들이 CD로 발매되면서 미국 편집반들은 절판되었으나, 2004년 발매된 박스 세트 《The Capitol Albums, Vol. 1》을 통해 모노와 스테레오 버전 모두 처음으로 CD화되었다.
차트 (1964–1965) | 최고 순위 |
---|---|
미국 빌보드 톱 LP[15] | 1 |
미국 캐시 박스 톱 100 앨범[16] | 1 |
미국 뮤직 벤더 톱 100 LP | 1 |
차트 (2024) | 최고 순위 |
---|---|
독일 (Offizielle Top 100) | 68 |
6. 상업적 성과
미국에서 이 음반은 1964년 2월 1일 주간 앨범 차트에 92위로 데뷔하여 2주 만에 1위에 올랐고,[15][32] 이후 빌보드 차트와 캐시박스 차트에서 11주 연속 1위를 기록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22][16]
판매량은 1964년 12월 31일까지 4,045,174장을 기록했고, 1960년대 말까지는 총 4,699,348장이 판매되었다.[14] 미국 내 총 판매량은 500만 장 이상으로 추산되며,[23]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및 5×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한편, 《롤링 스톤》지는 2003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음반 500장 목록에서 이 음반을 59위로 선정하였다.[24]